슬기로운 경제

2025년부터 주택 보유세 기준 전면 개편 – 달라지는 세금 요약

alphahome 2025. 5. 6. 18:30
728x90
반응형

정부는 2025년부터 주택 보유세 과세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편은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공시가격 현실화율 조정, 세율 구조 변화,
1주택자 부담 완화, 다주택자 세부담 유지를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실소유자, 투자자, 임대사업자 등 주택을 보유한 모든 사람에게 세금 변화가 발생하므로,
지금부터 꼼꼼히 확인해야 할 시점입니다.


✔️ 보유세란 무엇인가요?

보유세는 주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재산세 – 지방자치단체에서 부과, 연 1회 또는 분할 납부
  2. 종합부동산세(종부세) – 고가 주택 보유자에게 국가가 별도 부과

✔️ 2025년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항목기존2025년부터
공시가격 현실화율 평균 71.5% 약 65%로 하향
1세대 1주택 재산세 공시가 9억 기준 감면 공시가 12억까지 감면 상향
종부세 기준선 1가구 1주택 12억 15억으로 상향
세율 체계 누진구간 6단계 간소화 및 중산층 부담 완화
공정시장가액비율 90% 80%로 인하
 

✔️ 개편 핵심 요약

  • 실수요 1주택자 보호 강화
  • 고가·다주택자는 기존 세금 유지
  • 중산층 보유세 연 20~40만 원 절감 효과 예상
  • 임대사업자 감면 혜택 일부 폐지

✔️ 실제 세금 변화 예시

보유 주택공시가격2024년 세금2025년 예상 세금
서울 아파트 1채 9억 원 145만 원 120만 원
경기 다주택자 (2채) 18억 원 720만 원 730만 원 (유지)
지방 중저가 단독주택 2.5억 원 25만 원 20만 원
 

✔️ 종부세 변화는?

  • 1주택자 기준선 15억으로 올라가며,
    대부분 중산층은 종부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다주택자에게는 기존 종부세율과 동일하게 적용,
    단, 법인 보유 주택은 중과세율 유지

✔️ 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축소

2025년부터는 등록 임대사업자에게 제공되던 일부 재산세·종부세 감면 혜택이 단계적으로 축소됩니다.
기존 장기임대 조건을 만족해도 신규 주택 등록 시 감면 제외될 수 있으며,
2020~2022년 등록자는 재계약 여부에 따라 혜택 유지 여부 달라짐


✔️ 세부담 줄이는 방법은?

  1. 세대 분리 가능한 경우, 공시가격 기준 분산 고려
  2. 납부 시기 조정으로 이자 부담 최소화
  3. 성실납세자 감면 제도 확인
  4. 임대소득 신고 시 가산세 유의
  5. 지방세 납부 앱 활용 시 간편 확인 가능

관련 링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