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1. 왜 ‘신청’이 중요한가?
정부 정책은 ‘신청자에 한해서만’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최근 시행되거나 예정된 노인 대상 정책들 역시,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특히 5월 16일까지 신청해야 하는 사업도 있어, 마감 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2. 노인 연령 기준, 65세에서 75세로 상향 추진?
44년간 유지되던 노인 기준(만 65세)이 75세로 조정되는 논의가 본격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기초연금, 노인일자리, 경로 우대제도 등 각종 정책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기초연금 대상 연령이 바뀔 경우, 2년간 약 13조 원의 예산 절감이 예상됩니다. 변화가 시작되기 전에 지금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평생교육 바우처 사업, 65세 이상 어르신 신규 포함!
2025년 평생교육 바우처 사업에 어르신(65세 이상)이 처음 포함됐습니다.
- 지원금: 1인당 35만 원 (우수자 70만 원)
- 신청 방법: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 보조금24
- 지급 방식: 농협 포인트 카드 발급 후, 학습비·교재비 사용 가능
- 접수 일정: 1차 – 5월 14일까지 (저소득층, 장애인), 2차 – 5~6월 중 예정 (65세 이상)
📎 꼭 기억하세요! 올해부터 지자체 사업으로 개편되어 지역별 일정과 신청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 4. 노인을 위한 일자리 사업 – 역대 최대 110만 개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일자리도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 총 예산: 약 2조 1,840억 원
- 형태별 지급:
- 공익활동형: 월 30시간 근무 → 월 29만 원
- 사회서비스형: 월 60시간 근무 → 월 76만 원
✔️ 60세 또는 65세 이상 참여 가능하며, 보람 있는 활동을 통해 사회 참여와 수입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 5. 서울형 ‘동행일자리’ – 월 최대 177만 원 지급
서울시가 주관하는 하반기 일자리 사업입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16일
- 근무 조건: 주 5일, 하루 6시간 이내 / 일급 61,000원
- 지급액: 월 평균 177만 원
- 근무 기간: 2025년 7월 1일 ~ 12월 19일
- 신청 장소: 관할 동 주민센터
지원 분야는 무려 5대 영역 762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봄, 건강, 환경, 디지털 등 다양합니다.
📌 6. 서울 동행일자리 주요 예시
- 스쿨존 교통안전지킴이
- 안심 도시락 배달 도우미
- 물가 안정 조사원
- 빗물받이 관리자
- 디지털 안내사 (찾아가는 or 우리 동네)
- 우리 동네 환경보안관
- 에너지 서울 동행단 등
📞 문의: 120 다산 콜센터
📌 7. 타 지역 공공근로 신청 일정
서울 외 지역에서도 공공근로와 지역 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 인천 중구: 5월 21일까지
- 경기도 이천시: 5월 23일까지
- 기타 지역: 해당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 필요
📌 8. 지금 꼭 알아야 할 핵심 요약
구분내용
신청 필수 기간 | 5월 1일~16일 (서울형 일자리 등) |
주요 혜택 | 일자리 제공, 평생교육 바우처 (최대 70만 원) |
노인 연령 기준 변화 | 65세 → 75세 단계적 상향 논의 중 |
바우처 신청처 |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보조금24 |
참여 방법 | 각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
🔗 관련 링크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