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경제

아파트 관리비 폭등 – 전기·가스요금 인상 본격 반영

alphahome 2025. 5. 6. 17:30
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5월, 전국 곳곳에서 아파트 관리비가 폭등하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분이 공동주택 관리비에 본격 반영되면서,
특히 난방 사용이 많은 중대형 평수 입주민들은 매달 수만 원씩 관리비가 늘어난 현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에너지 요금 현실화를 이유로 들고 있으나, 세대별 체감 부담은 예상보다 훨씬 큽니다.


✔️ 실제 관리비 얼마나 올랐나?

항목2023년2025년
평균 아파트 관리비 18만 원 22만 원
전기요금 항목 3.8만 원 5.1만 원
가스요금 항목 2.4만 원 4.6만 원
 

특히 서울·경기 신도시, 노후 아파트 단지의 상승 폭이 크며,
일부 단지는 전월 대비 25~35% 급등한 사례도 발생했습니다.


✔️ 관리비 인상의 핵심 원인

  1. 전기요금 인상
    → 한국전력 단가 조정 + 연료비 상승 영향
  2. 가스요금 인상
    → 천연가스 수입단가 급등 반영
  3. 공동전기·난방·급탕비 실사용 증가
  4. 최저임금 인상
    → 경비·미화 인건비 상승, 외주비용 증가
  5. 정비비용 증가
    → 승강기, 소방설비 등 유지보수비 상승

✔️ 관리비 상승 체감 사례

  • “3월보다 4월 관리비가 6만 원 올랐다” – 경기도 김포 D단지
  • “한 달 생활비의 30%가 관리비로 나간다” – 대구 수성구 A단지
  • “계단청소, 경비도 줄였는데 왜 더 오르나” – 서울 은평구 B아파트

✔️ 전기요금 인상폭 요약

항목2023년2025년
kWh당 평균 단가 104.1원 120.4원
누진제 영향 있음 그대로 유지
공동전기 기준 약 25% 인상  
 

✔️ 가스요금 인상폭 요약

항목2023년2025년
MJ당 단가 19.69원 24.49원
도시가스 공급단가 1.4배 상승  
공동난방 단지 부담 약 2배 증가  
 

✔️ 입주민이 할 수 있는 대책은?

  1. 관리비 내역 공개 요청 – 관리비 명세서 정기 검토
  2. 전자투표로 예산 심의 참여 – 동대표 회의 감시
  3. 에너지 절감 캠페인 참여 – 공동 전기·가스 사용 줄이기
  4. 외주 용역 계약 조건 검토 – 경쟁 입찰 여부 확인
  5. 세대별 개별 계량기 점검 – 과다 부과 차단

✔️ 정부 대응은?

  •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 예산 신설 (2025년 2,000억 원)
  • 지자체별 관리비 점검단 운영 확대
  • 노후 아파트 에너지 리모델링 지원사업 확대
  • 주택관리법 개정안 발의 중 (내역 투명공시 의무화)

관련 링크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