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경제

정부, 저소득층 통신요금 월 1만 원 지원 – 대상자 확인 방법은?

alphahome 2025. 5. 6. 14:30
728x90
반응형
SMALL

정부는 2025년 5월부터 저소득층을 위한 통신요금 감면 제도를 확대해,
월 최대 1만 원까지 이동통신요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정보 격차 해소, 생계비 부담 완화, 디지털 접근권 보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자동 또는 간편 신청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어떤 제도인가요?

이 제도는 **‘보편적 통신복지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저소득층이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을 요금에서 차감해주는 방식입니다.

  • 월 최대 감면액: 1만 원
  • 지원 방식: 요금 청구서에서 자동 차감
  • 적용 회선: 1인당 1개 회선 (휴대폰, 유심 포함)

✔️ 지원 대상자 조건

구분상세 내용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장애(아동수당 포함), 차상위장애인, 자활대상자 등
기초연금 수급자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만 18세 이하 아동양육가구 양육비 지원 받는 보호자 포함
 

✔️ 신청 방법은?

온라인 신청 방법

  1.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2. ‘통신요금 감면’ 검색
  3.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신청서 작성
  4. 자동 자격 확인 및 적용

오프라인 신청 방법

  •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통신사 대리점에서도 대행 가능 (KT, SKT, LG U+)
  • 신청서와 신분증, 통신요금 납부번호 지참

✔️ 통신사별 혜택 차이는?

통신사제공 방식특이사항
SK텔레콤 자동 감면 처리 T기프트 혜택도 병행
KT 기본료 외 데이터 추가 제공 요금제별 추가 할인
LG U+ 알뜰폰도 일부 적용 유심 기반 상품 감면 적용 가능
 

※ 알뜰폰(MVNO)은 일부 사업자만 참여, 확인 필요


✔️ 주의사항

  • 회선 명의자와 지원 대상자가 동일해야 적용 가능
  • 가족 명의로 되어 있으면 적용 불가, 명의변경 필요
  • 기존 복지 감면제도와 중복 가능 (장애인 감면 등)
  • 중복 회선 적용 불가, 1인 1회선 원칙

✔️ 어떤 효과가 있을까?

  • 월 1만 원이면 1년간 최대 12만 원 절감 효과
  • 장기 요금 체납 방지, 통신 단절 예방
  • 디지털금융·모바일 행정 등 비대면 서비스 접근성 확대
  • 고령층과 청소년의 통신 불평등 해소

✔️ 향후 확대 계획

  • 2026년부터 AI 기반 자동 신청 시스템 도입 예정
  • 알뜰폰 대상 확대, 다문화 가정 포함 검토
  • 긴급 복지 수급자도 단기 적용 대상에 포함 예정

관련 링크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