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지키는 법! 유심 유출·스미싱 피해 막는 9가지 핵심 수칙
대표키워드: 개인정보보호
최근 유심 유출과 스마트폰 해킹, 스미싱 등의 디지털 범죄가 급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큰 재산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특히 휴대폰을 통해 개인 계좌 정보, 비밀번호 등이 노출되며 보이스피싱, 명의 도용, 금융사기 등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실제 사례와 함께 개인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핵심 예방 수칙을 정리해드립니다. 끝까지 읽고 반드시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해보세요!
1. 유심 유출 문자, 꼭 출처 확인하기
최근 '고객님이 예약하신 유심이 대리점에 도착했습니다'라는 내용의 문자가 유포되고 있습니다.
공식 통신사에서 온 것처럼 보이지만, 링크를 누르면 개인정보가 탈취되고, 원격 조종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SKT 고객센터: 1599-0011
✅ KT 고객센터: 100 / 1588-0010
✅ LG U+ 고객센터: 1544-0010
▶ 문자나 전화로 받은 링크는 절대 누르지 말고, 꼭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진위 여부 확인하세요.
2. 스마트폰 보안 설정 점검하기
스마트폰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보안 위협 자동 차단’**을 활성화하세요.
이 설정은 인증되지 않은 앱 설치를 차단하며, PC나 충전기를 통한 USB 악성코드 전송도 방지합니다.
3. 의심스러운 메일·문자, 클릭 금지!
'비밀번호가 변경되었다'는 이메일이나 '본인이 아니면 확인하세요'와 같은 경고성 메시지는 대부분 스팸·피싱 메일입니다.
📌 절대 링크를 클릭하지 말고,
📌 해당 메일이나 문자를 스팸으로 신고하세요.
4. 악성 앱 탐지 앱 설치하기
피해가 의심된다면 즉시 아래 앱들을 설치해 보안 상태를 점검하세요.
- 🔹 알약M (바이러스 검사 / 안티피싱 탐지)
- 🔹 시티즌 코난 (보이스피싱 예방 앱, 악성 앱 탐지 기능 제공)
5. 명의 도용 방지 설정 필수!
모르게 휴대폰이 개통되거나 계좌가 개설될 수 있습니다.
✅ 카카오뱅크 앱 → 점 3개 메뉴 →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 전체 개통 제한 설정
✅ 모든 통신사 개통 차단 가능
📌 비대면 계좌 개설 차단 서비스와 신규 여신 거래 차단 서비스도 꼭 은행 앱 또는 창구에서 신청하세요!
6. 소액결제 차단 설정하기
소액결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114 고객센터나 통신사 앱에서 소액결제 차단 설정을 하세요.
이 설정만으로도 불필요한 결제 피해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습니다.
7. 신분증 사진 및 민감정보는 저장 금지
스마트폰 내부에 신분증 사진, 주민등록번호, 은행 계좌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꼭 필요한 경우에도 보안 앱을 사용해 암호화 저장하거나 사용 후 즉시 삭제하세요.
8. 피해 발생 시 즉시 118 사이버 민원센터 연락
링크를 클릭했거나 의심스러운 행동이 감지되면
📞 118 (무료 전화) 로 즉시 상담하세요.
상황을 설명하면 검사 앱 안내, 보안 조치, 계좌 지급정지 요청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9. 계좌 일괄 지급정지 서비스 신청하기
피해 발생 시 온라인 계좌통합관리 서비스 또는 은행 고객센터, 지점을 통해
📌 일괄 지급정지 서비스를 신청하면 내 모든 계좌의 이체를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